차이징 등 중국 복수 유력 미디어에 따르면 중국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DC/EP)가 광둥성 선전, 장쑤성 쑤저우에서 우선적으로 발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해당 시범 프로젝트는 인민은행이 주도하며 중국 4대 은행(공상은행, 농업은행, 중국은행, 건설은행)과 3대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가 참여한다. 지난달 28일 판이페이 인민은행 부총재는 DC/EP 설계, 표준 제정, 테스트가 마무리 됐다고 언급하면서 시범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관련 소식통은 "최근 인민은행디지털화폐연구소는 '경마' 모델을 채택, 각 은행이 자원해 광둥성 선전에서 DC/EP 테스트를 진행, 성과가 좋으면 해당 모델을 바로 채택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이번 시범 프로젝트(선전)는 2단계로 나뉘는데, 1단계는 올해 말 작은 범위 내에서 진행하는 폐쇄식 테스트이고, 2단계는 내년 선전 대부분의 지역에 보급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인민은행 관계자는 DC/EP를 결제 시스템에 도입하는 테스트도 진행했으며 현 결제 시스템이 이미 어느 정도 디지털화폐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큰 개조는 필요 없다고 말했다.
) 암호화폐 투자업체 XBTO, 백트 BTM 최초 거래
미국 암호화폐 전문 투자업체 XBTO 창업자 필립 베카지(Philippe Bekhazi)가 9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백트 거래소에서 최초로 옵션 거래를 진행했다. 전통을 이어가라!"고 말했다. 앞서 백트는 '백트 비트코인(USD) 옵션(BTM)', '백트 비트코인(USD) 현금 기반 월물 선물(BMC)' 등 2개 비트코인 파생상품 계약을 9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백트 데이터에 따르면 BMC 상품 거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 저스틴 선 "ETH 개발자, 트론 이전 환영"
트론(TRX, 시총 13위) 창업자 저스틴 선이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ETH) 개발자들이 트론으로 개발 작업을 이전하는 것을 지원하고 싶다"고 말했다. 앞서 이더리움 프로젝트 관계자 중 한 명인 니나 브레즈니크 (Nina Breznik)는 "이더리움 재단이 내년 내부 팀에 대한 대부분의 자금 지원을 중단할 예정"이라며 "슬프게도 이더리움 재단은 개발 연차 수가 적은 순으로 자금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1일부터 우리 프로젝트에 대한 해당 조치가 진행됐고 다른 프로젝트들의 지원도 다음 해 삭감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 비트메인 주주총회, 잔커퇀 상정안 부결... 우지한 지지층 굳건
암호화폐 미디어 블록비트에 따르면 9일 오전 열린 비트메인 주주총회에서 잔커퇀이 모든 이사들을 파면시키고 스스로를 유일한 이사로 임명하는 안건을 상정했으나 부결됐다. 주주총회에 참석한 한 주주는 "잔커퇀이 왜 주주총회를 개최했는지 모르겠다. 스스로 치욕만 당했다"며 "우지한이 한달 전 복귀하면서 비트메인 내부 사기는 나날이 오르는 중"이라고 말했다. 미디어는 잔커퇀이 상정한 안건이 수많은 주주들의 반대에 부딪힌 것은 잔커퇀이 경영권 싸움에서 철저히 밀려났음을 의미하며 단기적으로 봤을 때 잔커퇀이 경영권을 되찾아 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진단했다. 우지한 비트메인 공동 창업자는 지난 10월 말 비트메인 복귀를 선언하고 회장이었던 잔커퇀의 모든 직위를 해제한 바 있다.
)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2...투심 소폭 개선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28)보다 4포인트 오른 32를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개선됐지만 공포 단계를 지속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 리서치 "BTC 채굴 속도, 소폭 둔화"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토큰뷰(TokenView)에 따르면 최근 7일 해시파워 평균치는 97.36 EH/s를 기록, 블록당 평균 채굴 속도가 전주 대비 감소했다. 최근 7일 활성 주소 수는 69만 9,492개로 전주 대비 1.39% 감소했다. 최근 7일 비트코인 네트워크 내 온체인 트랜잭션 수는 31만 1,359 건을 기록, 전주 대비 4.38% 증가했다.
) 피르마체인, 블록체인 전자계약 시장 선점 가속화
블록체인 전문업체 피르마체인이 국내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플랫폼 개발 분야 선점 의지를 밝혔다. 피르마체인이 제공하는 블록체인 전자계약 서비스 듀잇은 계약 내용을 암호화폐에 저장, 기밀 유출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 전자계약 서명에 필요했던 공인인증 절차를 생략, 문자메시지(SMS)나 메일, 일회용 비밀번호(OTP) 등을 통해 간단하게 계약 당사자간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피르마체인 측은 "5G 정보통신기술 보급으로 스마트물류 등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기존 종이 문서를 대신해 블록체인 기반 전자문서 계약이 각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피르마체인은 최근 빗썸에 상장하고 OKB 에코 시스템 파트너에 합류하는 등 글로벌 블록체인 전자계약 생태시스템 확장에도 나섰다.
) BTC 보유 주소 수, 역대 최대... 2,839만 개
벤처캐피털 아본 벤처스(Avon Ventures)에 따르면 BTC를 보유한 주소 수가 역대 최대치인 2,839만 개를 기록했다. 다만 하나의 주소가 많은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내역 중 사용되지 않은 거래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하나의 지갑이 여러 개의 주소를 보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 한 명이 여러 개의 지갑을 보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제 비트코인 홀더 수는 이보다 더 적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커스터디 업체, 거래소가 하나의 주소에 고객 자금을 보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전체 BTC 홀더 수가 과소평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본 벤처스는 "거래소에 암호화폐를 보관 중인 투자자 수가 많기 때문에 실제 BTC 홀더 수는 2,839만 명을 웃돌 것"이라고 진단했다.
) 업비트, 이그니스 에어드랍 미지원... 이용자 불만
MTN에 따르면 업비트가 '이그니스(IGNIS, 시총 138위)'를 보유한 이들에게 일종의 '배당금' 지급을 지원하지 않기로 해 비난을 사고 있다. 9일 오후 5시부터 '이그니스' 보유자를 대상으로 콜(COAL) 토큰 에어드랍이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국내 거래소 중 프로비트와 한빗코만 에어드랍을 지원하기로 했다. 국내서 이그니스 거래량이 가장 많은 곳은 업비트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업비트의 하루 이그니스 거래량은 약 4억 566만 원으로, 전 세계 거래소 중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때문에 국내 이그니스 보유자들은 업비트 에어드랍 지원에 기대를 걸었지만, 업비트는 이그니스 에어드랍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일부 이용자들은 "업비트가 COAL 토큰을 챙기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업비트 측에 항의하기도 했다. 업계도 이 같은 이용자 추측이 전혀 불가능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는 "COAL 에어드랍은 블록 스냅샷에 기반해 이루어지 때문에 거래소 지갑이 포함돼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비트 측은 "COAL 토큰을 제공하는 COALCULUS에서 진행한 마케팅"이라며 "모든 마케팅 활동을 같이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원희룡 "제주, 블록체인 특구 지정 재도전"
뉴스1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가 블록체인 특구 지정에 재도전한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9일 제주 칼호텔에서 열린 '2019 블록체인 인 제주'(Blockchain In Jeju) 포럼 개회사에서 이 같이 밝혔다. 원 지사는 "제조업 등 기존산업에 취약한 제주도의 약점이 블록체인과 같은 핵심기술 분야에서 오히려 앞서나갈 수 있는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지난해 전기자동차 관련 규제 자유 특구와 함께 블록체인 규제 자유 특구 지정을 추진했으나 정부는 부산을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비트코인 선물 (비트맥스) > 암호화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10일 저녁 코인 주요 뉴스 (0) | 2019.12.10 |
---|---|
12월 10일 오전 코인 주요 뉴스 (0) | 2019.12.10 |
12월 9일 오전 코인 주요 뉴스 (0) | 2019.12.09 |
12월 8일 저녁 코인 주요 뉴스 (0) | 2019.12.08 |
12월 8일 오전 코인 주요 뉴스 (0) | 2019.12.08 |
최근댓글